본문 바로가기

사회적약자2

한은 "무인 키오스크 매장 증가세…현금결제 기기도 배치해야" 몇 년 전쯤 미국의 일부 주에서 아마존의 무인매장에서 현금을 받도록 하는 법이 시행되었다는 기사를 봤다.이민자, 저신용자 등 현금을 사용해야만 하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국내의 사례를 보면 무인 매장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만 사용하는 유인매장에서도 현금 결제 기능이 없는 Card-Only 키오스크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어쩌면 당연하다.현금 입금기와 방출기에 오류가 발생하면 장애처리와 사용 불가에 따라 주문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잔액이 부족하면 시재를 채워야 하고, 또 매번 잔돈을 준비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현금입금기, 방출기가 포함되면 구매(혹은 렌탈)가격도 껑충 뛴다.고객 입장에서는 현금 결제를 하게 되면 소득 공제를 못받거나 현금영수증을 처리하기 위해 인증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도.. 2024. 5. 28.
키오스크 정보접근성 준수의무 및 권리구제 관련 법령 키오스크의 보급이 급속도로 빨라지면서 장애인, 고령층 등 사회적 약자의 배려에 대한 이슈가 계속 불거지고 있다. 이에 국가 차원에서도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2023년 1월부터 시행이 될 예정이다. 민간 영역에는 유예 기간이 주어지겠지만 당장 공공용 장비에는 접근성이 고려되지 않으면 납품이 어려울 수도 있다. 미리미리 준비해야 할 듯. 물론 그 전에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나와야 하겠지만. ** 추가 지난 3월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고시 일부개정안 재행정예고'를 고시했다. 관련내용은 여기를 참조. 법률명 법 시행령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6조(장애인ㆍ고령자 등의 지능정보서비스 접근 및 이용 보장) ① 국가기관등은 정보통신망을 통.. 2021. 9. 6.